Vector Space
Fields, Vector space, Subspace, Linear independence
일반적으로 우리가 vector라는 것을 쓸 때 좌표를 이용해서 자주 표현한다.
\[\vec{x} = (a,b)\]vector는 연산할 때 참 편리한데, \(\vec{y} = \vec{x_1}+\vec{x_2}\) 는 좌표 표기방식을 빌어 vector를 표현했을 때 좌표축별로 값을 더해주면 + 연산결과가 나온다. vector를 연산할 때 행렬(Matrix)를 자주 사용하여 계산하기도 한다.
\[y= \begin{bmatrix} y_1 \\ y_2 \end{bmatrix} = \begin{bmatrix} A_{11} A_{12} \\ A_{21} A_{22} \end{bmatrix} \begin{bmatrix} x_1 \\ x_2 \end{bmatrix} = Ax\]이런 좌표말고도 다항식, 혹은 함수들도 모두 vector라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고, 나아가 종래에는 행렬을 이용하여 함수들, 다항식들 등 다양한 요소를 vector로 취급하여 계산할 수 있게 하다.
이를 위해 vector를 일반화하는 vector space에 대해 다뤄볼 필요가 있다.
1. Field
Field, \(F\) : scalar라는 대상들의 집합과 2개의 연산자(\(+, \cdot\))에 대해 정의되어 있는 구조체
이때 (\(+, \cdot\)) 연산자가 만족하는 성질은 다음과 같다.
1) [덧셈에 대해 닫혀있다.] \(\alpha, \beta \in F, \rightarrow \alpha+\beta \in F\)
2) \(\alpha + 0 = \alpha, \forall \alpha \in F, 0 \in F\)
3) \(\alpha + \beta = \beta + \alpha\)
4) \((\alpha+\beta) +\gamma = \alpha + (\beta+\gamma)\)
5) [덧셈에 대한 역원] \(\forall \alpha \in F, \alpha+\beta = 0 인 \beta \in F가 있고, 이때 \beta = -\alpha 라고 표기한다.\)
6) \(\alpha\cdot\beta = \beta\cdot\alpha\)
7) \((\alpha \cdot \beta) \cdot \gamma = \alpha \cdot (\beta \cdot \gamma)\)
8) [곱셈에 대한 역원] \(0을 제외하고 \forall \alpha \in F에 대해서, \alpha \cdot \gamma = 1 인 \gamma \in F 가 있고, 이때 \gamma = \alpha^{-1} 이라고 표기한다.\)
여튼 scalar로 이루어진 집합에 대해 위와 같은 성질을 만족하는 \(+, \cdot\)이라는 연산자를 만들면, 해당 연산자와 scalar 집합을 field로 부른다.
Notation : \(\alpha - \beta = \alpha + (-\beta)\)
Example
- \(R + \cdot\)
\(C + \cdot\)
Rational function \({x^k + ... +d \over x^k_2 + ... b}\)
2. Vector space
\((X,F) =\) A vector space over a Field \(F\)
\(X\) : Vector들의 집합
\(F\) : Vector space가 정의되는 Field (scalar들의 모음)
\(+\) : Vector 끼리의 덧셈
\(\cdot\) : Vector에 scalar를 곱하는 곱셈
이때 \((+,\cdot)\) 이라는 연산자가 만족하는 성질은 다음과 같다.
1) \(x_1, x_2 \in X \rightarrow x_1 + x_2 \in X\)
2) \(x_1 + x_2 = x_2 + x_1\)
3) \(0 \in X s.t. x+0=x, \forall x in X\)
4) \(y = -x \in X s.t. x+y = 0, \forall x\)
5) \(\alpha \in F, x\in X \rightarrow \alpha \cdot x \in X\)
6) \((\alpha \cdot \beta)\cdot x = \alpha \cdot (\beta \cdot x) \forall x \in X, \alpha, \beta \in F\)
7) \(\alpha \in F \rightarrow \alpha \cdot (x_1 + x_2) = \alpha \cdot x_1 + \alpha \cdot x_2\)
8) \(1 \in X, s.t. x \cdot 1 = x, \forall x \in X\)
Notation
Vecto space \((X,F) = X_F\)
특별한 말이 없으면 본 사이트에서 Field는 \(R\)(Real number field)로 두자 \(F=R\)
Example
1) \((F^n, F)\)
\[\begin{bmatrix} \alpha_1 \\ ... \\\ \alpha_n \\ \end{bmatrix} \in F^n\]\(+, \cdot\) : elementwise하게 동작하도록 하면 \((F^n, F)\) 는 vector space 가 된다.
2) \((F_n[s],F)\)
\(\alpha s^{n-1} + ... + m = 0 \in F_n[s]\) \(+, \cdot\) : 각 차수별로 덧셈하고, 곱셉은 모든 차수에 대해서 scalar를 곱하게 하면 \((F_n[s],F)\)는 vector space가 된다.
3) \((C[t_0, t_1], R)\)
\(C[t_0, t_1]\) : 정의역 폐구간 \(t_0 - t_1\)까지의 연속 함수들의 집합 \((+,\cdot)\) : pointwise하게 덧셈하고, 전체 point에 대해 scalar를 곱하게 하면 vector space가 된다.
- Define \(+\) : \((f+g)(t) := f(t) + g(t)\) : 함수 level에서의 덧셈 연산을 Field level에서의 덧셈연산을 이용해 정의
- Define \(\cdot\) : \((c\cdot f)(t) := cf(t)\) : 함수 level에서의 곱셈연산을 Field level의 \(\cdot\)을 이용해 정의
3. Subspace
vector space \((X,F)\)가 있다고 해보자.
\(Y \subset X\), 이고 \(+, \cdot\)은 \((X,F)\)의 연산자를 그대로 사용했을 때, 두 연산자에 대해서
\(y_1, y_2 \in Y, \alpha \in F \rightarrow y_1 + y_2 \in Y, \alpha \cdot y_1 \in F\) 이면 \((X,F)\)의 subspace \((Y,F)\)라고 한다.
Sum of subspaces
vector space \((X,F)\)가 있다고 해보자.
\(Y, Z \in X\)이고 subspace \((Y,F), (Z,F)\)라고 하자.
두 subspace의 합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.
\(Y+Z = {x: x=y+z, y\in Y, z\in Z}\)
\((Y+Z,F)\)
Union of Subspaces
vector space \((X,F)\) 가 있다고 해보자. \(Y, Z \in X\)이고 subspace \((Y,F), (Z,F)\)라고 하자. \(Y \cup Z := \{x: x\in Y \text{ or } x \in Z\} \rightarrow\) subspace일까?? subspace 아니다
- example
예를 들어 \(Y축 \cup X축\) 공간을 생각해보자. 가로축\((X)\)에서 vector 하나를 가져오고 세로축(\(Y\))에서 다른 vector를 가져와 더하면 계산 결과 vector는 가로축에도, 세로축에도 안속하게 된다. 덧셈에 닫혀있지 않은 셈
Intersection of Subspaces
vector space \((X,F)\) 가 있다고 해보자. \(Y, Z \in X\)이고 subspace \((Y,F), (Z,F)\)라고 하자. \(Y \cap Z:=\{x : x \in Y and x \in Z\}\)는 subspace이다.
Direct sum of Subspaces
국문으로는 직합이라고 한다.
vector space \((X,F)\) 가 있다고 해보자. \(Y, Z \in X\)이고 subspace \((Y,F), (Z,F)\)라고 하자.
\(Y+Z = X \\ Y \cap Z = \{0\}\) 이면 \(X\)는 \(Y,Z\)의 direct sum 이라고 말한다
Notation : \(X = Y \bigoplus Z\)
-
Direct sum은 왜 중요한가 \(x \in X = Y \bigoplus Z\) 이면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.
\(x = y+z, where y \in Y, z \in Z\). 그런데 이 이 구성이 유일하다. 왜냐하면 \(Y \cap Z = \{0\}\) 이기 때문.유일성은 \(x= y+z = u+w, u\in Y, w \in Z\)라고 두고 서로 빼보면 된다.
\[\displaylines{ x-x = 0 = y-u+z-w \\ y - u = w - z \\ y,u \in Y \rightarrow y-u \in Y (\because Y \text{is subspace of X})\\ w,z \in Z \rightarrow w-z \in Z (\because Z \text{is subspace of X})\\ y-u = w-z = 0 (\because Y \cap Z = {0})\\ \therefore y=u, w=z }\]
4. Linear independence
Linear combination
\(A \subset X, X = \text{vector set of vector space } (X,F)\)
\(\text{element of} A = \{v_1 ... v_k\}\) 일 때
\(\alpha_1 v_1 + \alpha_2 v_2 + ... +\alpha_k v_k :=\) linear combination
Span
\(A \subset X, X = \text{vector set of vector space } (X,F)\)
\(\text{element of} A = \{v_1 ... v_k\}\) 일 때
\(A\) 에 속하는 모든 원소를 가지고 만들 수 있는 모든 linear combination의 집합을 \(span(A)\)라고 표기한다.
Linear depedence vs Linear independence
-
Linear dependence
nonempty set \(A \in X, X \text{is vector set of vector space } (X,F)\) 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일 때 linear dependence라고 한다. \(A\)의 finite set \(\{x_1, x_2, ... ,x_k\}\)를 꺼내고, scalar \(\{\alpha_1, \alpha_2, ... ,\alpha_k \}\)를 고르는데,
\(\alpha_1 x_1 + ... +\alpha_k x_k = 0\) 식을 만족하는 계수 \(\alpha\)가 0이 아닌 계수들이면 A는 linear depedence이다. -
Linear independence
dependence가 아니면 independence
\(\alpha_1 x_1 + ... + \alpha_k x_k = 0\) 의 계수들이 모두 0이면 linear independent 하다 - 기타 등등 질문들
1) 공집합\((\{\} or \emptyset)\) linearly indepedent일까?- linearly dependent 집합은 nonempty set에대 해서만 정의된다
- linearly independent 집합은 linearly dependent 집합이 아닌 집합을 의미한다.
- 공집합은 linearly dependenr한 집합이 아니므로 linearly independent 집합이다.
2) 0이 아닌 vector 하나로 이루어진 집합 \(\{x\}\)는 linearly depedent일까?
- \(\alpha \cdot x = 0\) 을 만족하는 계수는 0 밖에 없으므로 linearly independent이다
3) 0 vector로 이루어진 집합 {0}은 linearly dependent일까?
- \(\alpha \cdot 0 = 0\)을 만족하는 0이 아닌 계수는 무수히 많으므로 linearly dependent이다.
- \(span(A) = span(A-\{v\}) \text{ if } v (\in A) \text{ is a linear combination of } A-\{v\}\)
- 일반적으로 “같다(=)”를 증명하려면 value에 대해서는 \(x<=y, x>=y\) 를 하나씩 증명하면 되고, 집합에 대해서는 \(X \in Y, Y \in X\)를 증명하면 된다.
- proof)
-
\(span(A-\{v\}) \in span(A)\)
\(\because A-\{v\} \in A \rightarrow span(A-\{v\}) \in span(A)\) -
\(span(A) \in span(A-\{v\})\)
\(\displaylines{ span(A) = span(A-\{v\})+span(\{v\})\\ span(\{v\}) \in span(A-\{v\}) (\because v \in span(A-\{v\})) \\ \therefore span(A) \in span(A-\{v\}) }\)
-
5. Basis
Basis \(B\) of vector space \({X} := B \text{ is linearly independent and } span(B) = X\)
주어진 vector space에서 선형 독립이고 span 하면 X를 다시 만드는 vector들을 고르면 basis가 된다.
Basis는 유일하지 않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