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ayley-Hamilton Theorem, Functions of a Square Matrix
Cayley-Hamilton theorem, Polynomial functtions of matrix, Minimal polynomial, Functions of a square matrix
- Cayley-Hamilton Theorem
- Polynomial Function of Matrix( n by n)
- Minimal Polynomial
- Functions of a Square Matrix
Cayley-Hamilton Theorem
- Notation
\(A\in C^{n\times n}\) \(A^k = A\cdot A\cdot A\cdot ... \cdot A (\text{ k번 행렬 A 곱하기 } )\) \(A^0 = I\)
\(\gamma(\lambda) = det(\lambda I - A) = \lambda^n + C_{n-1}\lambda^{n-1} + ... + C_1\lambda+C_0\) 라고 하자
이때 \(\lambda\) 자리에 강제로 \(A\)로 치환하여 \(\gamma(A) = A^n + C_{n-1}A^{n-1} +...+C_1A+C_0I\) 로 바꾸면 \(\gamma(A)=0\) 이다.
Proof
adjoint matrix of \(A\)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
\[A=[a_{ij}] =\begin{bmatrix}a_{11}& a_{12}& ... & a_{1n} \newline a_{21} &a_{22} & ... & a_{2n} \newline ... & ... & ...& ... & \newline a_{n1} & a_{n2} & ... &a_{nn}\end{bmatrix} \\ adj(A) = [\alpha_{ij}]^T =\begin{bmatrix} \alpha_{11} & \alpha_{21} & ... & \alpha_{n1} \newline \alpha_{12} & \alpha_{22} & ... & \alpha_{n2} \newline ... & ... & ...& ... \newline \alpha_{1n} & \alpha_{2n} & ... & \alpha_{nn} \end{bmatrix} \\ \alpha_{ij} = (-1)^{i+j} M_{ij} \\ M_{ij} = \text{ matrix A에서 i행, j열을 지운 matrix의 determinant}\]\(adj(\lambda I -A)\) 의 i행 j열 요소들은 matrix \(\lambda I -A\)의 i행 j열을 지운 matrix의 determinant 들이므로 각각의 \(adj(\lambda I- A)\) 의 요소들은 일종의 \(\lambda\)의 다항식으로 표현된다. 그런데 이때 i행 j열을 지운 것들의 determinant이기 때문에 그 요소들은 최대 \(n-1\)차 다항식으로 표현된다. 각각의 요소에 대해서 \(\lambda\)에 대해 모두 풀어 쓰면 \(adj(\lambda I-A)\)는 계수가 matrix 형태인 \(\lambda\) 다항식으로 풀어 쓸 수 있다.
\[adj(\lambda I -A) = K_{n-1} \lambda^{n-1} + ... + k_1\lambda + K_0\]어떠한 행렬 \(A\) 의 inverse matrix의 정의가 \(ad(A) \over det(A)\) 이므로, \({adj(\lambda I - A) \over det(\lambda I-A)}(\lambda I - A) = I\) 이다.
\(adj(\lambda I -A) (\lambda I -A) = det(\lambda I -A)I\) 이고, 이를 전개해서 각 계수별로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.
\[\text{우변} : \lambda^n I + C_{n-1}\lambda^{n-1}I + ...+C_1\lambda I + C_0 \lambda \\ \text{좌변} : K_{n-1} \lambda^n I + ( -K_{n-1} A + K_{n-2} I)\lambda^{n-1} + ... + (-K_0A) \\\] \[K_{n-1} = I \\ K_{n-2} I - K_{n-1}A= C_{n-1}I \\ K_{n-3} I - K_{n-2}A = C_{n-2}I \\ ...\\ -K_0A = C_0 I\]위 계수 비교 \(k\) 번째 줄(\(0≤ k ≤n\)) 양변에 \(A^{n-k}\) 를 곱해서 좌변은 좌변끼리, 우변은 우변끼리 모두 더하면 다음과 같이 식이 전개된다.
\[A^n(K_{n-1} - K_{n-1})+A^{n-1}(K_{n-2}-K_{n-2}) + ... +A^0({K_0 - K_0}) = 0 \\ = A^n + C_{n-1}A^{n-1}+... +C_1A+C_0I \\\]따라서 \(A^n + C_{n-1}A^{n-1}+... +C_1A+C_0I = \gamma(A)=0\) 이다.
Polynomial Function of Matrix( n by n)
polynomial \(f(\lambda) = \sum_{j=0}^{l} a_j \lambda^j\) 라고 쓸 때 polynomial function of matrix는 \(\lambda\) 자리에 강제로 행렬 \(A\)를 넣은 것을 말한다.
\[f(A) = \sum_{j=0}^l a_j A^j\]이러한 polynomial function of matrix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.
1. 만일 \(A\)가 block diagonal matrix라면 ( \(A_i\) 도 정방행렬)
\[A = \begin{bmatrix} A_1 & & & \\ & A_2 & & \\ & & ... & \\ & & & A_k \end{bmatrix} \rightarrow A^m = \begin{bmatrix} A_1^m & & & \\ & A_2^m & & \\ & & ... & \\ & & & A_k^m \end{bmatrix}\] \[f(A) = \sum_{j=0}^l a_j A^j = \begin{bmatrix} f(A_1) & & & \\ & f(A_2) & & \\ & & ... & \\ & & & f(A_k) \end{bmatrix}\]2. \(A\)를 jordan form으로 나타내면 \(A=TJT^-1\)
\[f(A) = \sum_{j=0}^la_jA^j =\sum a_j(TJT^-1)^j=\sum a_j TJ^jT^{-1}=T(\sum_{j=0}^la_jJ^j)T^{-1} \\ f(A) = Tf(J)T^{-1}\]3. \(f(J)\) 는 어떤 모습일까?
Jordan form \(J\)는 Jordan block으로 이루어진 block diagonal matrix이다. 각각의 \(i\)번째 jordan block은 distinct eigenvalue \(\lambda_i\)에 대응되며 \(d\) 는 distinct eigenvalue의 개수이다. \(i\)번째 jordan block은 \(m_i \times m_i\)로 여기서 \(m_i\)는 algebric multiplicity에 해당한다.
\[J = \begin{bmatrix} J_1 & & & \\ & J_2 & & \\ & & ... & \\ & & & J_d \end{bmatrix}\]하나의 Jordan block \(J_i\) 는 다음과 같이 sub-block으로 구성되어 있다. 각각의 sub-block은 eigenvector에 대응되며 \(k\) 번째 eigenvector에 대한 chain of generalized eigenvector와 연관되어 있다. \(g_i\)는 독립인 eigenvector의 개수, geometric multiplicity 이다. \(k\) 번째 sub-block의 사이즈는 \(m_{ik} \times m_{ik}\)로 여기서 \(m_{ik}\)는 chain의 개수에 해당한다.
\[J_i = \begin{bmatrix} J_{i1} & & & \\ & J_{i2} & & \\ & & ... & \\ & & & J_{ig_i} \end{bmatrix}\]chain of generalized eigenvector의 grade는 Index \(\eta\)까지 밖에 못 올라간다.(\(N(A-\lambda_i I)^k =N(A-\lambda_i I)^{\eta_i} ,\text{ where } k≥ \eta_i\) )
따라서 \(max(m_{ij})=\eta_i\) 이다
위 Jordan form의 형태를 생각해보건데 \(f(J)\)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\[f(J) = \begin{bmatrix} f(J_1) & & & \\ & f(J_2) & & \\ & & ... & \\ & & & f(J_d) \end{bmatrix} \\ = \begin{bmatrix} f(J_{11}) & & & & &\\ & f(J_{12}) & & & &\\ & & ... & & &\\ & & & ... & & \\ & & & & ... & \\ & & & & & f(J_dg_d)\\ \end{bmatrix}\]4. \(f(J_{ij})\)는 어떤 형태일까?
표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적도록 하자.
\[J_{ij} \rightarrow J \\ \lambda_i \rightarrow \lambda \\ m_{ij} \rightarrow m \\\]여기서 \(i\) 는 \(i\)번째 eigenvalue와 대응되는 index이고 \(j\)는 \(J_i\) 의 \(j\)번째 sub-block에 대응되는 index이고, \(m_{ij}\)는 \(J_{ij}\)의 행 개수(이자 열 개수) 혹은 이와 대응되는 chain of generalized eigenvector의 개수이다.
이러한 subblock \(J\)는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.
\[J = \lambda I + N \\ N= \begin{bmatrix} 0 & 1 & & & \\ & 0 & 1 & & \\ & & ... & ... & \\ & & & 0 & 1 \\ & & & & 0 \end{bmatrix} \text{ m by m}\]\(N\)은 대각성분이 모두 0이고 그 바로 윗줄에 1이 있는 것이다. 이러한 행렬 \(N\)의 특징은 거듭제곱할수록 1이라 적혀 있는 대각성분이 위로 한칸씩 밀리고 밀린 자리에는 0이 채워진다는 것이다. 그래서 \(N^k = 0 \text{ where } k≥m\) 이다.
따라서 \(J^k\)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\[J^k = (\lambda I + N)^k = {k \choose 0} \lambda ^k N^0 +{k \choose 1} \lambda ^{k-1} N + ... +{k \choose k} \lambda^0 N^k \\ = \sum_{j=0}^k {k \choose j} \lambda ^{k-j}N^j \\ = \sum_{j=0}^{m-1} {k \choose j}\lambda^{k-j}N^j\]\(k≥m\) 이면 \(N^k=0\) 이므로 \(J^k= \sum_{j=0}^{m-1} {k \choose j}\lambda^{k-j}N^j\) 로 써도 되고 \(k<m\)이라 할 지라도 \({3 \choose 10}=0\) 이듯이 \({k \choose j}=0 (\text{ where } j≥k)\) 이기 때문에 \(J^k= \sum_{j=0}^{m-1} {k \choose j}\lambda^{k-j}N^j\) 이다.
따라서
\[f(J) = \sum_{k=0}^l a_kJ^k = \sum_{k=0}^l a_k\sum_{j=0}^{m-1} {k \choose j} \lambda^{k-j}N^j = \sum_{j=0}^{m-1}N^j \sum_{k=0}^l a_k {k \choose j}\lambda ^{k-j} \\ = \sum_{j=0}^{m-1}N^j \sum_{k=0}^l a_k {k(k-1) ... (k-(j-1)) \over j!} \lambda ^{k-j} \\ = \sum_{j=0}^{m-1}N^j {1\over j!} f^{(j)}(\lambda)\] \[f^{(j)}(\lambda) = {d^j \over dt^j}f(\lambda)\]따라서 i번째 Jordan block의 j번째 sub-blcok \(J_{ij} (=\text{ 여기서는 }J)\) 에 대해서 \(f(J) = \sum_{j=0}^{m-1}N^j {1\over j!} f^{(j)}(\lambda)\) 이다. 여기서 \(N^j\) 는 일종의 placeholder matrix 역할을 하는데 이를 풀어써보면
\[f(J) = \sum_{j=0}^{m-1}N^j {1\over j!} f^{(j)}(\lambda) \\ = \begin{bmatrix} f(\lambda) & f'(\lambda) & {1 \over 2!}f^{(2)}(\lambda) & & ... & {1 \over (m-1)!}f^{(m-1)}(\lambda) \newline & f(\lambda) & f'(\lambda) & {1 \over 2!}f^{(2)}(\lambda) & ...& ... \newline & & f(\lambda) & f'(\lambda) & ...& ... \newline & & & ... & ...& ... \newline & & & & & {1 \over 2!}f^{(2)}(\lambda) \newline & & & & & f'(\lambda) \newline & & & & & f(\lambda) \end{bmatrix}\]따라서 \(f(A) = Tf(J)T^{-1}\) 이고 \(f(J)\) 는 \(f(\lambda_i), f'(\lambda_i), ... , f^{(\eta_i-1)}(\lambda_i), (i=1,...d)\) 를 알면 만들 수 있다.
즉 어떠한 polynomial \(f(x)\)에 대해서 \(f(A)\)를 구하기 위한 정보로는 \(A\)의 모든 distinct eigenvalue \(\lambda_1, ... ,\lambda_d\)에 대해서 \(f^{(j)}(\lambda_i), \text{ where } (i=1,...d), (j=0,...,\eta_i-1)\)만 알면 \(f(A)\)를 구할 수 있다.
Minimal Polynomial
\(\gamma(\lambda) = det(\lambda I -A)\) 일 대
임의의 polynomial \(f(\lambda) = \gamma(\lambda )Q(\lambda) + R(\lambda)\) 로 적을 수 있다. 여기서 \(\gamma(\lambda)\)가 \(n\)차 이므로 \(R(\lambda)\)는 최대 \(n-1\)차이다.
\(\lambda\)를 \(A\)로 치환시켜셔 polynomial of matrix 를 보면 cayley-hamilton theorem 때문에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.
\[f(A) = \gamma(A) Q(A) + R(A) = R(A)\]Example
이를 이용하면 matrix의 거듭제곱을 쉽게 구할 수 있다.
가령 \(f(A) = A^{100}, A=\begin{bmatrix} 1 &2 \newline 3&4\end{bmatrix}\) 를 구해보자.
\(f(\lambda)=\gamma(\lambda)Q(\lambda)+R(\lambda)\)로 쓸 수 있고, \(\gamma(\lambda)\)는 \(A\)가 2by2 matrix이므로 2차 다항식이다. 따라서 \(R(\lambda)\)는 1차 다항식 \(R(\lambda) = a_0 + a_1\lambda\)로 쓸 수 있다.
\(A\)의 distinct eigenvalue가 2개 있다면, \(f(\lambda_1) = a_0 + a_1\lambda_1\), \(f(\lambda_2) = a_0 + a_1\lambda_2\)로 \(a_0, a_1\)을 구할 수 있다.
\(a_0, a_1\)을 구하면 \(f(\lambda) = \gamma(\lambda)Q(\lambda) + (a_0 + a_1\lambda)\) 이고 \(f(A) = \gamma(A)Q(A) + (a_0 I+ a_1A)=a_0 I + a_1A\) 로 바로 \(A^{100}\)을 구할 수 있다.
어쨌든 여기서\(\gamma(\lambda)\) 대신 무엇을 넣으면 나머지 \(R(\lambda)\)의 차수를 줄일 수 있는지 찾고자 하는데, 이 때 \(\gamma(\lambda)\)보다 더 낮은 차수의 다항식을 넣을 수 있다면 \(R(\lambda)\)의 차수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.이때의 polynomial을 \(\mu(\lambda)\)로 표기하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.
\[\mu(\lambda) \leftarrow \mu(A)=0 \text{인 가장 낮은 차수의 다항식}\]계산의 편의상 \(\mu(\lambda)\)의 최고차항 계수는 1로 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.
\[\mu(\lambda) = \Pi_{i=1}^d (\lambda -\lambda_i)^{\eta_i}\]참고로 \(\gamma(\lambda) = det(\lambda I -A) = \Pi_{i=1}^d (\lambda - \lambda_i)^{m_i}\) 로 계산할 수 있다.
\(m_i\)는 \(\lambda_i\)의 algebric multiplicity이고 \(\eta_i\)는 \(\lambda_i\)의 index이다. \(m_i\)는 Jordan block의 크기를 결정하고 \(\eta_i\)는 Jordan block의 단일 sub-block 크기의 상한선(\(max(m_{ij}) = \eta_i\)) 를 결정한다는 것을 상기해볼 때 \(\eta_i ≤m_i\) 임을 알 수 있다.
Proof : \(\mu(A) = 0\) 인가?
\(\mu(\cdot)\)는 polynomial 이기 때문에 \(\mu(A) = \mu(TJT^{-1})=T\mu(J)T^{-1}\) 이다. 따라서 \(\mu(A) = 0\)인가? 라는 질문은 \(\mu(J)=0\)인가? 라는 질문으로 다시 쓸 수 있다.
\[\mu(J) = \Pi_{i=1}^d (J-\lambda_iI)^{\eta_i}\]인데 \(J\)는 Jordan form 이므로 \((J-\lambda_1I)\) 은 첫번째 Jordan block의 대각성분이 0이고 나머지 대각성분은 0이 아니다. \((J-\lambda_2I)\)는 두번째 Jordan block의 대각성분이 0이고 나머지 대각성분은 0이 아니다. → \((J-\lambda_j I)\)는 j번째 Jordan block의 대각성분이 0이고 나머지 대각 성분은 0이 아니다.
한편 \((J-\lambda_1I)^{\eta_1}\)는 첫번째 Jordan block 대각성분의 0 때문에 첫번째 Jordan block 영역이 모두 0이 된다. \((J-\lambda_2I)^{\eta_2}\) 는 두번째 Jordan block 대각성분의 0 때문에 두번째 Jordan block 영역이 모두 0이 된다. → \((J-\lambda_j I)^{\eta_j}\)는 j번째 Jordan block 대각성분의 0 때문에 j번째 Jordan block 영역이 모두 0이 된다.
한편 block diagonal matrix의 곱은 서로의 block끼리만 곱해진다. 따라서 \(\mu(J)=(J-\lambda_1I)^{\eta_1}(J-\lambda_2I)^{\eta_2} ...(J-\lambda_dI)^{\eta_d}\) 의 첫번째 Jordan block 영역은 \((J-\lambda_1I)^{\eta_1}\) 때문에 모두 0이 되고, 두번째 Jordan block 영역은 \((J-\lambda_2I)^{\eta_2}\) 때문에 모두 0이 된다. → j번째 jordan block 영역은 \((J-\lambda_jI)^{\eta_j}\) 때문에 모두 0이 된다.
따라서 모든 Jordan block 영역이 0이 되므로 \(\mu(J)=0 \rightarrow \mu(A)=0\) 이다.
Functions of a Square Matrix
이제 polynomial 뿐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함수 매개변수에 행렬을 넣어보고 싶은 것이다. 가령 \(sin(A), e^{At}\) 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 지 알고 싶은 것이다. \(sin(A), e^{At}\) **이러한 표기들을 어떻게 계산하여야 편리하게 쓸 수 있는지 이 파트에서 정의한다.
서로 다른 polynomial \(f(\lambda), g(\lambda)\) 에 대해서
서로 다른 polynomial \(f(\lambda), g(\lambda)\) 에 대해서 만일 행렬 \(A\)의 distinct eigenvalue \(\lambda_i, i=1,...,d\) 에 대해 \(f(\lambda_i)=g(\lambda_i)\) 이고 \(\eta_i-1\) 차 미분 계수가 같다고 해보자. 이 경우 \(f(A)=g(A)\) 이다.
왜냐하면 \(f(A)=Tf(J)T^{-1}, g(A)=Tg(J)T^{-1}\)이고, \(f(J), g(J)\) 모두 distinct eigenvalue에서의 함수값과 \(\eta_i -1\)차 미분계수만을 사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이다.
따라서 서로 다른 polynomial이라 할 지라도 주어진 행렬 \(A\)의 모든 distinct eigenvalue에서의 함수값과 모든 distinct eigenvalue의 \(\eta_i -1, (i=1,...,d)\) 차 까지의 미분계수가 같다면 \(f(A)=g(A)\)가 되는 것이다.
Polynomial이 아닌 \(f(\cdot)\)에 대해서도
위와 같은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다항식이 아닌 함수에 대해서도 같은 개념을 적용해볼 수 있다.
만일 주어진 행렬 \(A\)f(\lambda)\(모든 distinct eigenvalue에 대해서\)f\(의 함수값과\)f\(의\)\eta_i -1 , (i=1,..,d)\(차 미분 계수가 어떠한 polynomial\)P$$의 함수값과 미분계수와 같다면,
다음과 같이 정의내릴 수 있을 것이다.
\[f(A) = P(A)\]이러한 polynomial은 항상 존재하고 유일하며 Hermite interpolation polynomial 이라고 한다.
- \[P(\cdot)\text{의 최대 차수 } < \eta =\sum_{k=1}^d \eta_k\]
Example
-
Exmpale1
\(A=\begin{bmatrix}-4 & 1 \newline 3 & -2\end{bmatrix}\), \(e^{At}=?\)
\[\gamma(\lambda) = det(\lambda I - A) = (\lambda + 4)(\lambda +2) -3 = \lambda^2 +6\lambda +5 = (\lambda+1)(\lambda+5)\]eigenvalue \(\lambda_1 = -1, \lambda_2 = -5\) → \(\eta_1 =1, \eta_2 = 1\) \((\because d=2, m_1=1, m_2=1)\)
\[f(\lambda) = e^{\lambda t} \\ f(\lambda_1) = e^{-t} = P(\lambda_1)\\ f(\lambda_2) = e^{-5t} = P(\lambda_2)\]\(P\)의 최대 차수는 \(\eta = \sum \eta_k=1+1=2\) 보다 작으므로 \(P(\lambda) = a_0 + a_1 \lambda\) 이다.
\[e^{-t} = a_0+a_1(-1)\\ e^{-5t} = a_0 +a_1(-5) \\ \rightarrow \\ a_0 = {5 \over 4}e^{-1t} -{1\over 4} e^{-5t} \\ a_1 = {1 \over 4}(e^{-t} -e^{-5t})\]따라서
\[e^{At} = P(A) = ({5 \over 4}e^{-1t} -{1\over 4} e^{-5t})I + {1 \over 4}(e^{-t} -e^{-5t})A\] -
Example 2
\[A = \begin{bmatrix} 0 & 0 & -2 \newline 0 & 1 & 0 \newline 1 & 0 & 3 \end{bmatrix}, e^{At} = ?\] \[det(\lambda I - A)= (\lambda -1)^2(\lambda-2)\]\(\lambda_1 = 1 \rightarrow m_1 = 2, g_1=2, \eta_1 = 1\) 로 계산하면 구할 수 있다.
\(\lambda_2 = 2 \rightarrow m_2 = 1, g_2=1, \eta_2= 1\) 로 계산하면 구할 수 있다.
\(P\)의 최대차수 < \(\eta= \sum \eta_k = 1+1\) → \(P(\lambda) = a_0 + a_1\lambda\)
\[f(\lambda_1 ) = e^t = P(\lambda_1) = a_0 + a_1 \lambda_1 = a_0 + a_1 \\ f(\lambda_2 ) = e^{2t}= P(\lambda_2) = a_0 + a_2\lambda_2 = a_0 + 2a_1\] \[a_1 = e^{2t} - e^t \\ a_0 = 2e^t - e^{2t} \\ \therefore P(\lambda) = (2e^{t}-e^{2t}) + (e^{2t}-e^{t})\lambda\]따라서
\[e^{At} = P(A) = (2e^{t}-e^{2t})I + (e^{2t}-e^{t})A\]